top of page

다음세대에게 진리 전할 땐 그들의 언어*문화로 소통해야

한국교회가 당면한 현안 중 하나는 다음세대의 이탈이다.

기독교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도 성인이 돼 독립하면 교회를 떠나곤 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은 다음세대에 대한 위기감을 더욱

고조시켰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도 다음세대가 모이는 교회는 분명 존재한다.차이가 뭘까. 국민일보는 지난 6일 다음세대 사역에 앞장서 온

이형노(중앙감리교회) 박호종(더크로스처치) 조지훈(기쁨이있는교회) 목사와 함께 ‘다음세대를 꿈꾸는 목회자들’이란 주제로 긴급 좌담회를 가졌다.

사회는 2021서울페스티벌 사무국장 김상준 목사가 맡았다.

-다음세대 목회에 힘을 쏟고 계신다.

박호종 목사=주님의 은혜로 10년간 24시간 멈추지 않는 기도회를 해오고 있다. 청년들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서울 강남구 영동프라자에서 모이는 데 장소가 의미가 있다. 고 옥한흠 목사님께서 사랑의교회에 계실 때 소망관으로 사용된 곳이다. 선교한국,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가 다 여기서 출범했다.

이형노 목사=신촌에 있는 창천교회에서 문화사역을 했고, 정동제일교회 젊은이 교회 담당 목사로 청년사역에 힘썼다. 3년 전에 중앙감리교회로 왔는데 목회 환경이 이전과 다르다. 지금 우리 교회의 주류는 70대 이상이다. 부임 당시 청년은 2명 정도였다. 그러다보니 다음세대에 대한 생각의 폭이 넓어졌다. 저희 교회 입장에서 보면 70대 이하는 다 다음세대다. 제 목회 현장이 힘있게 청년 사역을 하는 여건은 안 되지만, 우리 교회가 입지 좋은 환경들로 다음세대 세우는 일에 공헌했으면 좋겠다는 열망을 갖고 있다. 다행인 것은 청년의 수가 점점 늘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은 25명 정도 청년이 모인다.

조지훈 목사=2008년 개척을 했다. 어떤 목회를 할까 고민하던 중에 한 집회에 참석했다. 체육관에서 예배를 드리는데 2시간을 기다려서 들어가더라. 너무 충격을 받았다. 현장에서 강력한 예배를 경험했다. 예배를 담아내는 문화적 요소들에 대해 고민을 실질적으로 하게 됐다. 미자립교회 청년들을 섬기는 콘퍼런스를 했는데 그게 저희 교회 모태가 됐다. 3박4일간 예배만 했다. 예배에 굉장한 힘이 있다는 걸 깨달았다. 청년 사역을 하면서 제가 받은 마음은 젊은이들은 아버지 마음이 있는 곳을 찾는다는 것이었다.

-청년들이 모이는 데는 이유가 있는 것 같다.

박 목사=한 번은 설교 때 골밀도 약해진 걸 얘기했더니 성도들이 뼈에 좋다는 걸 한 보따리 보내줬다. 그런데 아무리 좋은 걸 먹어도 뼈에 전달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한국교회가 본질을 외친 지는 오래됐다. 중요한 것은 본질을 세대에 전달하는 것이다. ‘전해질’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어른에 맞는 전해질이 있고 청년들에게 공급되는 전해질이 있다. 저는 이걸 넓게 말하면 문화, 좁게 말하면 워십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부분에서 예배의 본질을 어떻게 전할 것인가를 두고 사역자들과 많이 고민한다.

조 목사=2시간 걸려 예배에 오는 친구가 있다. 하루는 그 친구가 왜 자기가 2시간이나 걸려 이곳에 오는지 아느냐고 묻더라. 대답을 들어보니 하나님 얘기를 듣고 싶어서라고 했다. 다음세대 만나다 보면 의외로 복음, 뜨거운 예배, 하나님에 대한 갈망이 있다. 이런 갈망에 대한 답이 틀에 잘 담겨 전달되면 분명히 스파크가 일어난다.

-다음세대 위기라고 하는데 목사님들이 생각하는 실제 문제점은 뭔가.

조 목사=제가 볼 때 지금의 문제점은 다음세대에 대한 시대적 키워드를 잡지 못하는 데 있다. 예를 들어 모세가 있었던 때 중요했던 키워드는 출애굽이었다. 여호수아 시대로 가면 출애굽이란 키워드를 알긴 알고 중요하지만, 그들에게 풀어질 키워드는 아니다. 아마 가나안, 하나님 약속, 전쟁 이런 것이 키워드였을 것이다. 세대별 키워드는 다른데 그에 대한 정의가 안 돼 있다. 이는 교회가 시대에 둔감하다는 말이다.

-조 목사님 말에 동감한다. 사회의 여러 이슈들에 청년들이 목소리를 내고 있다. 차별금지법이나 동성애 등 논란의 주제도 있는데 이미 키워드 선정에 한국교회가 실패한 느낌이다.

조 목사=여러 이슈에 대해 모른 척하기는 시대적으로 힘들다. 교회가 바른 기준을 잘 제시해 주는 게 필요하다. 다음세대들은 말해주길 기다리고 있다. 그것도 내가 존경하고 믿고 있는 공동체에서 말해주길 기다리고 있다.

박 목사=이런 이슈들에 정면승부를 해야 한다. 청년들 앞에 두고 얘기해 봐야 한다. 그 아이들의 방식과 키워드를 갖고 정면승부해서 깨주는 것밖에 없다. 이 시대가 진리라고 말하는 것이 참 진리인지 논하는 거다. 우리의 기준은 바뀔 수 없다. 성경이라는 기준 앞에서 크리스천이길 원하고, 되려고 하는 이들에게 ’이게 답이야’라고 알려줘야 한다.

이 목사=본질이 뭔지, 기준이 뭔지 알려 주는 게 정말 중요하다. 아이들에게 명확하게 제시되면 그 부분만큼은 흔들림 없이 확실해진다. 여기에 덧붙여 그들과 소통하기 위해선 그 세대의 언어를 이해까지 해야 한다. 청년들과 어른들 사이에서 중간적 입장으로 조율하다 보면 하나의 단어를 두고도 세대마다 이해가 다른 걸 알 수 있다. 여호수아서에 보면 광야에서 가나안에 들어가는 세대를 다음세대라 이야기하지 않고 다른 세대라 이야기한다. 다른 식으로 얘기해줘야 하는데 내 생각의 아류, 우리 세대의 아류정도로 이해하니까 거기서부터 소통이 안 되지 않나 생각이 든다.

-소통의 부재 속에 한국교회가 청년들을 투자 대상으로만 생각하는 느낌도 지울 수 없다. 구조를 바꿀 방법은 없을까.

조 목사=청년사역 같은 경우 대부분 부서 사역으로 책정돼 있다. 교역자의 역할이 큰데 부서 돌리기 식으로는 사역을 꾸준히 하기가 어렵다. 교회 청년부를 맡아 1년이 지나면 청년들이 ‘아직 (다른 데) 안갔어요’라고 묻는 실정이다. 좋은 사역자가 와서 청년들을 일으킨다고 해도 그가 떠나면 다시 사그라지는 곳이 많다. 물론 그렇지 않은 곳도 많지만, 굉장히 실제적인 문제라 생각한다. 장기적으로 청년들을 세울 사역자가 필요하다.

이 목사=왜 전문 사역자가 나오기 힘들까. 평생 부교역자 하면서 전문 사역자 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권위나 생활면 등에서 담임목사와 부교역자 편차가 너무 크다. 지금 우리 목회 구조가 그렇다. 전문 사역자의 길로 ‘올인’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반대로 이를 보장해줄 수 있다면 지금보다 훨씬 많은 전문 사역자가 세워질 것이다.

조 목사=모두 청년 목회만 할 순 없다. 각자의 부르심에 맞게 해야 한다. 3세대 모두 필요하다. 가능한 걸 해야 한다. 요즘 고민은 우리 교회의 경우 청년들로 시작된 공동체가 다들 결혼해서 애 낳고 가정을 꾸리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갔다. 지금은 3세대를 어떻게 결합시킬까에 대한 방향으로 목회 고민이 넓혀졌다. 우리 안에서 다 담을 필요는 없다. 비행기가 뜨려면 활주로가 있어야 한다. 최소한의 거리가 있어야 하고, 또 엔진이 있어야 한다. 아무리 괜찮은 사역자가 있어도 혼자 뜨기는 어렵다. 교단을 넘어 개방된 플랫폼이 필요하다.

박 목사=멀티사이트 교회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우리 교회의 경우 멀티사이트로 점점 바꿔가고 있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방향성이 더 확고해졌다. 낯선 개념이 아니다. 셀 교회라 보면 된다. 중요한 것은 요한복음 13장 1절 말씀처럼 끝까지 사랑하는 마음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51071

정리=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최근 게시물
bottom of page